본문 바로가기

최종편집일 2023-09-22 16:59

  • 오피니언 > 독자기고

[기고] 전세사기, 누구든 예외는 없습니다.

통영경찰서 경무계 임다영 순경

기사입력 2023-02-28 14:19 수정 2023-03-02 13:57

페이스북으로 공유 트위터로 공유 카카오 스토리로 공유 카카오톡으로 공유 문자로 공유 밴드로 공유
   통영경찰서 경무계 임다영 순경

지난해 1천 여채의 주택을 보유한 빌라왕김모씨의 사망 사건과 관련하여, 200명이 넘는 세입자들이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사태가 발생하여,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었다.

 

이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는 전세사기 전담본부를 신설하고 각 시도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와 경찰서 지능팀 등 전문인력을 중심으로하여 작년도 7월부터 231월까지 6개월간 전세사기 특별단속 기간으로 지정하여 단속을 실시했다.

 

그 결과 전국에서 2천명이 넘는 전세사기범들이 검거되고 구속되었다. 하지만 이에 멈추지 않고 경찰은 최근 부동산 가격 하락 및 끊임없이 발생하는 전세사기의 피해 등 국민적 우려가 지속되는 점을 고려하여 특별단속기간을 오는 725일까지 6개월 더 연장하여 실시중에 있다.

 

최근 전세사기 피해자들은 대체로 사회경험이 많지않고, 부동산 거래지식이 부족하거나 중개인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20, 30대 청년층이 많았다.

 

이렇듯 나이가 어리다고 해서 꼭 더 많은 지식을 습득하여 피해가 없는 것이 아니다. 남녀노소 가리지않고 피해자를 만들어내고 있는 전세사기, 예방을 위해 꼭 알아야 하는 내용을 알리려고 한다.

 

첫째로 주변 매매가, 전세가를 확인했을 때 시세보다 현저히 낮을 경우에는 우선 의심해볼 필요가 있고, 계약 상대방의 건물 소유여부 및 세금 체납여부를 꼭 확인하고, 전입신고가 곤란한 경우 등기사항증명서 상에 전세권을 설정하여 차후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보증금을 보호해야한다.

 

끝으로 가장 기본적인 것이지만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 등 각종 서류를 발급하여 근저당 혹은 경매 위험 여부를 꼭 확인해야한다.

 

대체로 전세사기, 보이스피싱 등 악성 사기범죄는 피해액을 변제받기가 힘들기 때문에 반드시 체크해야될 부분을 숙지하여 스스로 예방하고, 피해를 입지 않도록하자.

 
통영인터넷뉴스

통영인터넷뉴스 (tyinews@empal.com)

  • 등록된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댓글0

0/500